본문 바로가기
부가가치세 [특수사례편]

부가가치세 [특수사례편] 2.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도 부가세 신고 해야하나요?

by taxadviser1 2025. 5. 11.

✅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도 부가세 신고 해야 하나요?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 인플루언서, 스트리머 등)도 사업자등록을 하고, 부가가치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익, 국내 광고수익(PPL 등), 협찬 수익 등은 모두 세법상 과세대상 수입 입니다.
국세청 공식 기준을 바탕으로, 부가세 신고 절차와 유의사항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사업자등록 의무

✅ 1인 미디어 창작자라도
「부가가치세법」 제5조에 따라 사업 개시일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 광고수익 발생 여부(구글, 유튜브, 네이버 등) 확인
  • 사업장 소재지는 원칙적으로 거주지로 등록 가능
  •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영상 콘텐츠를 생산하고 이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인적 또는 물적시설 여부에 따라 과세사업자 또는 면세사업자로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합니다.

2.. 과세사업자/ 면세사업자 구분

✅  1인 미디어 창작자가 인적고용 관계 또는 별도 사업장 등 물적시설을 갖추고 다양한 콘텐츠의 영상을 영상 플랫폼에 공급하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과세사업자에 해당합니다.

⟹ 업종코드 921505,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1. 1)(예시) 시나리오 작성자나 영상 편집자를 고용한 경우 등
  2. 2)(예시) 전문적인 촬영장비를 보유한 경우, 별도의 방송용 스튜디오를 갖춘 경우 등
※ 부가가치세법 시행규칙 제29조 [물적 시설의 범위]
계속적, 반복적으로 사업에만 이용되는 건축물·기계장치 등의 사업설비(임차한 것을 포함)를 말한다.

 

 

✅ 1인 미디어 창작자가 독립된 자격으로 근로자를 고용하지 아니하고 물적 시설 없이 다양한 콘텐츠의 영상을 영상 플랫폼에 공급하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면세사업자에 해당합니다.

 

⟹ 업종코드 940306,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과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신고하여야 하고,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신고할 의무는 없으나 사업장현황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과세/면세사업자 모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3. 수익구조별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수익 구분 부가가치세 적용 여부
구글 애드센스 수익(해외수익) 영세율(0%) 적용 가능 (수출로 간주)
국내 광고주 PPL, 협찬수익 10% 부가세 과세
유료 콘텐츠 판매 10% 부가세 과세
 

✅ 구글 등 해외법인으로부터 수익을 받으면 ‘영세율’ 적용 가능,
✅ 국내 기업 광고수익은 일반 ‘과세대상(10%)’입니다.

 


4. 부가세 신고 방법

(1) 구글 수익 – 영세율 신고

  • 외화입금 내역 준비 (거래명세서, 송금확인서 등)
  • ‘수출실적명세서’ 작성하여 영세율 부가가치세 신고
  • 영세율 적용 요건 충족해야 환급 가능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영세율 적용대상 수출"로 처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2) 국내 수익 – 과세 매출 신고

  • PPL 광고비, 국내 광고수익은 매출로 신고
  • 거래처(광고주)에게 세금계산서 발급 의무 발생

부가가치세법상 용역 제공에 해당하며, 부가세 10% 부과가 기본입니다.

 


5. 매입세액 공제 가능 항목

✅ 사업용 장비 및 비용은 부가세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매입 항목 부가세 공제 여부
촬영용 카메라, 렌즈, 조명 구입비용 공제 가능
영상편집용 컴퓨터, 소프트웨어 구입비용 공제 가능
사적 지출(개인용품, 가정용품 등) 공제 불가 (불공제 매입세액 처리)
 

💬 사업에 직접 사용된 장비와 비용만 매입세액 공제가 가능합니다.
사적인 지출은 절대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6. 실무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

영세율 신고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과세처리될 수 있음
PPL 협찬품 수령 시, 거래로 본다면 현물 매출로 신고 필요
사업자용 지출과 사적 지출을 명확히 구분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음
✅ **신고기한(1월, 7월)**을 반드시 지켜 신고해야 함

 


✅ 정리 요약

✅ 유튜버, 1인 창작자도 사업자등록 필수
✅ 구글 수익은 영세율(0%) 신고, 국내 광고수익은 10% 과세
✅ 사업용 장비 구매는 매입세액 공제 가능
✅ 사적 지출, 불명확한 수익은 신고 대상 아님 주의
✅ 부가세 신고는 확정기한(1월, 7월) 엄수, 면세사업자 사업장현황신고는 2월 10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