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가가치세 [특수사례편]

부가가치세 [특수사례편] 1. 온라인 판매자의 부가세 신고, 쇼핑몰과 스마트스토어 기준

by taxadviser1 2025. 5. 11.

✅ 온라인 판매자의 부가세 신고, 쇼핑몰과 스마트스토어 기준

요즘 온라인 판매가 급증하면서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자체 쇼핑몰 운영자들의
부가세 신고 중요성도 커졌습니다.

하지만 온라인 판매는 오프라인과 세금 구조가 다소 달라 주의해야 합니다.
국세청 실무자의 관점에서,
온라인 판매자의 부가세 신고 시 주의사항과 필수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

 


1. 온라인 판매자의 부가세 과세 구조

✅ 온라인 판매도 오프라인과 동일하게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입니다.

구 분 내 용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자사몰 등  통신판매업 / 전자상거래소매업 (525101)으로 등록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한 판매 통신판매업 / SNS마켓 (525104)으로 등록 (신설)

 

  • 기본적으로 매출에 10% 부가세 부과
  • 매출자료는 대부분 플랫폼(쇼핑몰)이 자동으로 관리해줍니다.

단,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 일부 플랫폼은 '대리납부' 방식으로 부가세를 납부해주는 경우도 있어, 세금계산서 발급 방식이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2. 스마트스토어 매출 부가세 처리

✅ 스마트스토어(네이버)는

  • 소비자에게 부가세를 포함한 금액으로 판매
  • 스마트스토어 수수료(네이버 수수료)는 부가세 별도 청구

💬 매출은 총 판매금액 전체를 과세표준으로 신고하고,
스마트스토어 수수료는 매입세액 공제 대상이 됩니다.


3. 쿠팡, 오픈마켓 매출 부가세 처리

✅ 쿠팡은 판매대금을 ‘대리납부’하는 구조가 있습니다.

구 분 설 명
직접판매(마켓플러스 등) 판매자는 총 매출액 기준으로 부가세 신고
위탁판매(로켓배송 등) 쿠팡이 대리납부 시, 대리납부세액을 기납부세액으로 차감
 

💬 "대리납부"가 있는 경우,
기납부세액을 부가세 신고서에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안 하면 이중납부 발생!)


4. 온라인 판매자 부가세 신고 시 체크리스트

✅ 플랫폼별 매출자료 정리 (네이버, 쿠팡, 11번가, 자체몰 등 각각)
✅ 수수료 지출 내역 정리 (수수료 세금계산서 확보)
✅ 카드매출자료(매입/매출) 일치 여부 확인
✅ 대리납부 내역 따로 집계 (쿠팡, SSG 등)
✅ 반품/환불 내역 별도 관리 → 공급가액 조정 반영

 

💬 특히 ‘환불’이 발생한 경우는 부가세 신고서에 정확히 반영해야 합니다.


5. 실수하기 쉬운 부분

✅ 판매 수수료를 매출에서 빼지 말고 포함하여 전체 금액으로 신고

  • 수수료는 매입세액 공제처리하거나 소득세 비용처리로 계상함

✅ 대리납부 내역을 신고서에 반영하지 않으면 이중과세 발생

✅ SNS를 통한 상품 소개, 중개로 수익을 얻었다면

그것이 계속 반복적 (중요!!)으로 이루어질 경우 반드시 사업자등록을 하고 부가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함.

(안하면 후에 몇년 치 부가세를 한꺼번에 추징당하는 문제 발생하는 경우 있음.)

 


✅ 정리 요약

✅ 온라인 판매자는 매출 전액(총판매금액) 기준으로 부가세 과세
✅ 스마트스토어 수수료는 매입세액 공제 가능
✅ 쿠팡 등 대리납부 세액은 반드시 신고서에 기납부세액으로 차감
✅ 환불 내역도 빠짐없이 신고해야 부가세 정산 오류 방지

 


다음 글

부가가치세 [특수사례편] 2. 1인 미디어 창작자(유튜버)도 부가세 신고 해야하나요?

에서는 요즘 뜨고 있는 유튜버도 사업자등록과 부가세 신고를 해야하는지, 그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